여성주의( feminism 페미니즘) 또는 여권주의는 여성의 권리와 주체성을 확장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이론(또는 운동)이다. 학계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을 억압하는 젠더 불평등과 여성의 사회적 인식·지위를 기술하는 데 집중하며, 나아가 페미니즘의 본질을 성과 젠더에 국한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 젠더는 성의 환상이라는 입장
- 모든 위계질서는 탈 중앙화되고 민주주의 체제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입장
- 어떠한 조직이라도 집중화되어 있다면 이는 남성중심적(androcentric) 가족 구조에 기반
2. 페미니즘 연구 분야
- 페미니즘 정치적 활동가들은 주로 재생산 권리(낙태를 결정할 권리, 낙태에 대한 법적 일부 제한의 제거, 피임에 대한 접근)
- 가정폭력, 임산부 휴가(maternity leave)
- 사회활동 시 여성에 대한 동등한 임금, 성희롱, 성추행, 차별과 성폭력
3. 페미니즘 사상의 기원
문화 결정론자인 프란츠 보아스의 제자 마가렛 미드란 제자는 근본적인 성차는 기존 유형과는 다른 성적 사회화가 이뤄지면 청소년들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생각이 그것이었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그 생각에 동의했다. 이것이 페미니즘을 생각하게 만드는 시초가 됐다.
4.페미니즘의 역사
현대적 의미의 철학과 운동으로서의 페미니즘은 계몽 시대의 매리 워틀리 몬태규(Mary Wortley Montagu)나 콩도르세 후작 등의, 여성의 교육을 촉구하는 사상가들에게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19세기 여성이 불공평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널리 공유되기 시작함에 따라 페미니즘은 조직적인 움직임으로 발전하였다. 페미니즘 운동은 특히 19세기 사회 개혁 운동(초기 사회주의 운동)에 근거하였다. 공상적 사회주의자 샤를 푸리에는 1837년 féminisme라는 단어를 도입하였다. 그는 이미 1808년 여성의 권리 신장이 모든 사회 진보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세기 초반부터 여성들의 권리 신장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1917년의 러시아 10월 혁명은 여성들의 정치적 권리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당시의 러시아 혁명 정부는 여성들에게 남성들과 완전히 동등한 정치권을 주었으며, 가사노동 이외의 사회 활동도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장치도 마련하였다.
5.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의 페미니즘은 1980년대부터 등장하였다. 이들 여성주의는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기독교 여성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 중 자유주의적 페미니스트들과 사회주의적 페미니스트들은 결혼 제도, 정조론을 비판하였는데,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이 결혼의 자유, 연애의 자유, 성적 자유를 주장한 반면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정이나 순결에서의 해방을 주장하였다.